안녕하세요. 오늘은 팔에 있는 주요 근육인 상완이두근과 상완삼두근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두꺼운 팔은 남자들의 로망인데요. 헬스장에 가보면 팔을 두껍게 만들기 위해 많은 남성분들이 이두근 운동과 삼두근 운동을 하고 계십니다. 그만큼 많은 분들에게 친숙한 근육이지만 정확히 알고 있는 분들은 드문것 같습니다. 이두근과 삼두근이 어떤 근육인지, 어떤 경우에 어떻게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지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상완이두근
1) 위치
- 장두 : 견갑골의 관절상 결절에서 요골의 조면에 이어져 있습니다.
- 단두 : 견갑골의 오구돌기에서 요골의 조면에 이어져 있습니다.
2) 기능
- 장두 : 팔을 구부리고 옆으로 팔을 들고 밖으로 돌릴 때 작용합니다.
- 단두 : 팔을 구부리고 옆으로 팔을 들 때 작용하는 것은 장두와 동일합니다. 팔을 안으로 모을때도 작용합니다.
3) 통증 양상
: 어깨 앞쪽과 팔 앞쪽으로 통증이 발생합니다. 팔꿈치 앞쪽으로 통증이 방사되기도 합니다. 어깨보다 높이 팔을 들었을때나 팔을 옆으로 벌렸을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손을 돌리는 작용이 제한되거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통증 발생 원인
: 팔꿈치를 뒤로 펴고 아래팔을 바깥으로 돌리는 동작을 수행할 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테니스에서 백핸드 동장), 아래팔을 바깥으로 돌린 상태로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반복적으로 아래팔을 바깥으로 돌리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직업일 경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나사를 반복적으로 조이는 경우)
5) 관리방법
- 마사지 : 팔꿈치 윗부분에서부터 상완골두까지 이두근이 위치한 곳을 충분한 압력으로 눌러줍니다.
- 스트레칭 : 어깨관절과 팔꿈치 관절을 뒤로 펴서 이두근을 늘려줍니다. 팔을 바깥으로 돌려주면 이두근이 더 잘 늘어납니다.
2. 상완삼두근
1) 위치
- 장두 : 견갑골의 관절아래결절에서 척골의 주두돌기에 이어져 있습니다.
- 내측두 : 상완골 뒤쪽면에서 척골의 주두돌기에 이어져 있습니다.
- 외측두 : 상완골 뒤쪽면에서 척골의 주두돌기에 이어져 있습니다.
(상완삼두근 내측두는 상완골 뒤쪽면 요골신경 고랑보다 안쪽에서 시작되고, 상완삼두근 외측두는 상완골 뒤쪽면 요골신경 고랑보다 바깥쪽에서 시작됩니다.)
2) 기능
: 상완삼두근 장두, 내측두 그리고 외측두의 공통 기능은 팔꿈치를 펴는 것 입니다.
- 장두 : 팔을 안으로 모으거나 뒤로 펼 때 작용합니다. 팔을 옆으로 들 때,견관절을 안정화시켜주는 작용을 합니다.
- 내측두 : 아래팔을 안으로 회전한 상태로 팔을 뒤로 펼 때 가장 많이 작용합니다.
- 외측두 : 아래팔을 바깥으로 회전한 상태로 팔을 뒤로 펼 때 가장 많이 작용합니다.
3) 통증 양상
- 장두 : 위팔의 뒤쪽면에서 어깨 뒤쪽면까지 이어지는 통증이 발생합니다. 승모근 위쪽에서 목 아래쪽까지 이어지는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아래팔의 뒤쪽면에 통증이 확산되기도 합니다.
- 외측두 : 외측 팔꿈치로 집중된 통증이 발생합니다.(테니스엘보와 관련됩니다.). 아래팔 요골측에 확산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위팔의 뒤쪽 중앙으로 통증이 집중되며 간혹 아래팔의 앞쪽면을 지나 4번째 손가락과 5번째 손가락으로 통증이 발생합니다.
- 내측두 : 내측 팔꿈치에 통증이 발생하며 촉진시에 민감한 압통이 동반됩니다.(골프엘보와 관련됩니다.). 4번째 손가락과 5번째 손가락의 앞쪽면으로 통증이 발생하며 간혹 인접한 손바닥과 3번째 손가락으로 통증이 확산되기도 합니다.
- 원위부착부 : 주두돌기 주변으로 통증이 발생합니다. 팔꿈치가 책상면에 접촉될 때 저린 감각이 발생하거나 팔꿈치가 부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4) 통증 유발 원인
: 목발사용과 같이 반복적으로 누르는 동작으로 피로가 누적되거나 볼링과 같이 주관절의 신전과 견관절의 신전이 함께 일어나는 동작 혹은 팔굽혀펴기나 펄봉에 매달리기와 같은 운동을 갑자기 했을 경우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관리 방법
- 마사지 : 엄지나 주먹으로 주두돌기에서 시작해서 위쪽으로 삼두근이 위치한 곳을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눌러 줍니다.
- 스트레칭 : 머리 위로 손을 올려서 어깨관절과 팔꿈치를 모두 굴곡시킨 상태에서 반대쪽 손으로 올린 팔을 눌러주어 삼두근이 늘어나도록 합니다.
오늘은 상완이두근과 상완삼두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게시글을 통해서는 몸통에 위치한 중요한 근육인 요방형근과 복직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요근(Illiopsoas)과 이상근(Piriformis) (0) | 2023.02.08 |
---|---|
복직근과 요방형근, 몸통을 앞뒤로 잡아주는 중요 근육 (0) | 2023.02.07 |
회전근개를 구성하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그리고 소원근 (0) | 2023.02.01 |
오메가 3 지방산의 모든 것 (0) | 2023.01.31 |
견갑거근(Levator Scapulae)과 사각근(Scalene) (0) | 2023.01.30 |
댓글